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카카오 대리운전 투잡 수입 금액 및 세금신고

by 미다스101 2023. 4. 24.

누구나 쉽게 접근해서 할 수 있는 카카오 대리운전으로 수입이 얼마나 생기는지 다들 궁금해합니다. 대리운전기사 중 일부는 본인의 생업을 위해 하는 전업기사들도 있지만, 본인의 직장에 다니면서 저녁에 알바 개념으로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현재 본인의 일은 그대로 하면서 투잡으로 상당한 별도의 수입이 생기면 누구나 솔깃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카카오 대리운전을 하는 법 및 이로 인해 벌어들이는 수입은 얼마나 되는지, 직장인일 경우 대부분 겸업금지가 있는데 카카오 대리운전기사로 벌어들이는 수입에 대해 세금신고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카카오 대리운전 하는 법

운전면허증을 등록해야 하기 때문에 미리 준비합니다. 카카오 대리운전기사 등록 시 본인의 얼굴을 찍어서 등록해야 합니다. 대리운전을 호출하는 고객에게 보여지는 얼굴이기 때문에 미리 머리를 가다듬고 깔끔하게 보이게 준비합니다. 핸드폰에서 진행하면 더 간편합니다.

  1. 구글 Play 스토어에서 카카오 t 대리 기사용 앱을 다운 후 설치합니다.
  2. 휴대폰번호, 주민등록번호 앞 6자리, 이름(실명)을 입력합니다.
  3. 이후 운전면허증 사진 찍어 제출
  4. 프로필사진 제출(고객이 대리운전 호출 시 보여집니다)
  5. 운행지역 선택(서울, 부산등 지역 선택)
  6. 보험심사 요청으로 진행됩니다.

보험심사 요청 시 보통 3일 정도 소요됩니다. 만약 26세 이하이거나 사고경력이 많을 경우 보험가입이 거절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카카오 대리운전기사를 할 수 없습니다.

 

알바 투잡으로 카카오 대리운전 시 한 달 수입

 

투잡으로 카카오 대리운전기사를 하는 사유는 크게 2가지 사유로 예상이 됩니다. 첫 번째는 본인의 주된 소득이 높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투잡을 해서 소득을 보충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두 번째는 소득은 높지만 대출이자등 고정비 지출이 많아서 감당이 안될 때입니다. 결국 투잡으로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대부분 투잡으로 단순한 알바나 대리운전기사를 많이 선호합니다.

 

대리운전기사 카페에 가입해서 하는 이야기를 보면 시간당 1만원 정도로 보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물론 생업으로 하는 전업기사 같은 경우에는 카카오대리운전, 티맵대리운전을 기본으로 하고 로지, 콜마너등 대리운전연합 플랫폼에 가입해 추가로 소득을 얻기는 합니다. 하지만 직장에 근무하는 근로자가 투잡으로 카카오대리운전을 할 경우에는 다음날 출근 후 정상적인 업무를 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밤 12시나 새벽 1시에는 집에 도착을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할 경우 투잡으로 카카오대리운전을 할 경우 퇴근 후에 해야 되기 때문에 대리운전을 하는 시간은 보통 4시간 정도로 보면 됩니다. 왜냐하면 보통 집 근처에서 저녁 7시 30분 정도에 시작하고 밤 11시 30분 정도에 마친 후 집으로 오는 복귀 콜을 잡지 못할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해 집으로 오는 시간은 별도로 감안해야 합니다.

 

시간당 1만원으로 할 경우 하루 4만원, 30일 120만원정도인데 비 오는 날 제외, 갑자기 다른 저녁약속이 있을 경우 제외, 1주일 중 하루 휴식을 감안하면 실제 투잡으로 대리운전이 가능한 일수는 보통 20일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투잡으로 카카오 대리운전을 할 경우에 한 달에 약 80만원 정도 수입이라고 보면 됩니다. 

 

참고로 대리운전기사를 전업으로 하시는 분들은 하루 근무는 6시간~8시간 정도 하면서 시간당 평균 2만원~2만5천원정도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 투잡 대리운전기사 수입 : 하루 약 4시간 운전, 시간당 평균 1만원~1만4천원
  • 전업 대리운전기사 수입 : 하루 6~8시간 운전, 시간단 보통 2만원 내외

 

카카오 대리운전 투잡 수입 종합소득세 세금 신고

 

근로자는 직전 연도 근로소득에 대해 2월 말까지 연말정산 관련 자료를 회사에 제출하면, 회사에서 3월 10일까지 국세청에 자료를 제출하고 근로소득에 대한 세금신고가 종결됩니다.

개인사업자는 직전 연도 사업소득에 대해 5월 말까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면 됩니다. 투잡으로 대리운전을 하는 개인사업자는 종합소득세 기간에 합산하여 신고하면 됩니다.

 

하지만 근로자이면서 투잡으로 대리운전기사를 하는 경우는 연말정산 자료 제출 시 대리운전 수입은 회사에 제출하지 않고 순수하게 근로소득에 대한 자료만 제출하면 됩니다. 이후 5월 말까지 국세청 홈텍스에 로그인 후 기존에 회사에서 제출한 근로소득과 대리운전에 대한 사업소득을 합산 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됩니다.  

 

카카오 대리운전 투잡시 회사가 알게 되어 겸업금지 위반으로 인한 불이익 여부

 

투잡으로 카카오 대리운전을 할 경우 1달 예상 수입은 약 80만원 전후이고, 80만원 이상일 경우 고용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근로소득자는 회사에서 받는 월급여가 대리운전 수입보다 많기 때문에 회사에서만 납부하면 되고 대리운전으로 인한 고용보험료는 이중 납부가 되기 때문에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일정규모 이상 중소기업 및 기술 관련 업종은 대부분 취업규칙 및 근로계약서 작성 시 겸업금지 조항이 있고 이를 위반할 경우 징계 및 해고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자이면서 투잡으로 카카오대리운전을 할 경우 회사가 이를 알게 되어 겸업금지에 해당하는지를 궁금해하는데, 회사에서는 이를 알 수가 없습니다.

 

투잡으로 인한 월 보수가 80만원 미만이면 고용보험료 납부대상이 아니고 80만원 이상이라고 하더라도 대부분 근로소득이 이보다 높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고용보험료 납부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회사에서 대리운전기사로 투잡을 하는 사실을 알 수가 없습니다.

 

설사 회사에서 투잡 여부를 알게 된다고 하더라도 회사의 분위기에 따라 이를 문제 삼을 수도 있고 삼지 않을 수도 있는데, 피곤하다고 회사 근태가 불량하거나 업무를 태만히 하면 징계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바로 겸업금지로 해고를 당

하지는 않습니다. 해고를 하기 위해서는 징계위원회를 열고 견책, 근신, 감봉등 단계를 밟아야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