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휘날리며에 대한 간단한 정보
태극기 휘날리며는 1950년 6월 25일 발생한 한국 전쟁 영화로 2000년대 한국영화 중흥기를 이끈 강제규 감독의 영화입니다. 주연으로는 한국의 유명한 영화배우인 장동건과 원빈으로 지금으로부터 18년 전의 젊은 시절의 두 배우를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영화 중 형 역할인 장동건의 애인인 영신 역할로 배우 이은주가 조연으로 나옵니다. 이은주는 이후 몇 개의 영화로 인기가 급상승하던 중 2004년에 갑자기 안타까운 일을 당했습니다. 이 영화 속에서 다시 한번 배우 이은주의 추억을 되살려 볼 수 있습니다.
우애 좋은 형제, 강제로 전쟁에 참전
1950년 6월의 어느 날. 형제 역으로 나온 장동건과 원빈이 이 형화의 주인공입니다. 두 형제는 형제간의 우애가 아주 깊었고 동생은 1등을 할 만큼 공부를 잘합니다. 형은 이런 동생이 항상 자랑스러웠고 결혼을 약속한 여자(영신)가 있습니다. 영화가 진행되면서 형과 결혼을 약속한 영신이 죽게 되는데, 동생은 이를 계기로 형과 등을 돌리게 되는 결정적인 사건이 됩니다.
어느 날 동생이 신을 구두를 만들고 있던 형은 동생으로부터 전쟁이 발생했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이 전쟁이 바로 일명 한국에서 일어난 625 전쟁입니다. 한국에서는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헌병들이 18세 이상을 전쟁에 끌고 가기 위해 강제 징집을 시작하게 되고 동생이 끌려가게 됩니다. 동생이 강제 징집으로 끌려가게 된 사실을 알게 된 형은 동생을 찾기 위해 막 출발하기 직전이던 기차에 올라 타 난동을 부리게 됩니다. 하지만 형마저 동생과 같이 군대에 끌려가게 되고 형은 결혼을 약속한 여자와 헤어지게 되고 두 형제는 엄마와도 이별을 하게 됩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영화가 전개되는데, 북한군에 계속 밀리던 한국군은 낙동강에 최후 방어선을 구축하게 되고 두 형제는 여기에서 이미 다친 군인들을 보면서 전쟁의 참상을 보게 됩니다. 변변한 전투장비도 없이 계속 북한군에 밀려 난 한국군은 보급도 제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 주먹밥을 먹던 중 북한군의 폭격이 시작되고 두려움에 휩싸인 동생이 갑자기 심장에 무리가 가서 쓰러지게 됩니다. 깜짝 놀란 형은 동생의 정신을 차리게 하기 위해 노력을 하게 되고 경우 동생은 목숨을 건지게 됩니다.
동생을 제대시키기 위한 형의 노력
누구보다 동생과 사이가 좋았던 형은 동생을 전쟁에서 제대시키기 위해 굳은 마음을 먹고 대대장을 찾아 가지만, 거절을 당하고 오히려 동생을 제대시키려면 그에 합당한 전공을 세우라고 합니다. 형은 동생을 전쟁터에서 제대시키기 위해 위험한 작전에 계속 나가지만 전황은 나아지지 않았고 부상병이 늘어나게 되면서 좌절을 한 일부 병사들이 자살하게 됩니다.
형은 마지막으로 반대로 적을 기습작전을 하자고 제안합니다. 돌파구가 없던 병사들이 여기에 호응을 하면서 작전을 시작하게 됩니다. 기습 작전에서 남한군과 북한군은 치열하게 싸우게 되고 형은 우연히 북한 간부와 싸워서 북한군 수뇌부를 제압하게 됩니다. 형이 걱정된 동생은 계속해서 형을 찾아다니게 됩니다. 형이 걱정된 동생은 반대로 형이 위험을 무릅쓰고 전쟁을 한 다음 무공훈장을 받게 되면, 자기를 제대시키려고 하면서 형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형과 싸우게 됩니다.
한편 전쟁에 참여한 미국이 인천 상륙작전에 성공하게 되면서 전황이 바뀌게 됩니다. 대대장은 형에게 태극기를 주면서 백두산에 태극기를 꽂으라고 하면서 북한을 향해 진격합니다. 이 과정에서 유명세를 탄 형은 변하게 됩니다. 동생은 이런 형이 걱정되어 나한테는 하나밖에 없는 형이라면서 훈장을 받아서 자신을 제대시키려고 하는 생각은 버리라고 합니다. 동생은 이 과정에서 혹시나 형이 다칠까 봐 우려한 것입니다.
북한으로 진격하던 중 동생을 제대시키기 위한 전공에 눈이 뒤집힌 형은 북한군을 무리하게 쫓아갑니다. 이때 형을 도와주러 왔던 같은 부대 전우가 죽게 됩니다. 이를 알게 된 동생은 형이 다치는 것에 대한 우려, 무리하게 싸우면서 동료 군인이 죽은 것에 대해 형과 싸우게 됩니다. 전쟁은 인간을 광기에 물들게 합니다. 형과 동생이 있던 부대원들도 점점 전쟁의 광기에 사로 잡혀 점점 비인간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전쟁의 광기에 사로 잡힌 부대원들이 포로로 잡힌 북한군을 사살하려고 하던 중, 동생은 포로들 중 고향 후배를 발견하게 됩니다. 동생은 포로들을 사살하려던 형과 부대원들을 결사적으로 말리게 되어 고향 후배와 포로들을 구하게 됩니다.
이제 곧 압록강을 앞에 둔 부대는 곧 통일을 앞두고 있다는 방송을 듣고 환호하게 되고 형은 무공훈장을 받게 됩니다. 형은 동생에게 드디어 집에 갈 수 있다고 제대를 강요하지만 동생이 거부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동생은 형의 무공훈장은 전우들의 목숨으로 받게 된 것이라며 죄책감을 느끼게 되어 도저히 형의 제안을 받아 들일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동생이 죽은 줄 알고 형이 월북하다. 그리고 형의 죽음
바로 그때 중공군이 전쟁에 참여하면서 인해전술로 밀어붙이게 되고 부대원들이 급히 후퇴하던 중 부상을 당하게 되고 포로였던 북한군들이 탈출하면서 한국군을 일부 죽이게 됩니다. 다시 포로들을 사로잡게 된 부대원들이 모든 포로들을 사살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동생의 고향 후배도 같이 죽게 됩니다. 동생은 고향 후배가 죽은 것과 관련해 형과 싸우게 됩니다.
호시탐탐 동생을 전역시키기를 바라던 형은 대대장에게 다시 한번 동생의 제대 문제를 이야기하고 긍정적인 답변을 받게 됩니다. 국군은 계속 후퇴하게 되고 마침 고향 근처로 오게 된 부대에서 동생은 결혼을 약속한 형의 애인을 만나게 되지만 어딘가에서 나타난 사람들이 형의 애인인 영신을 끌고 가고 동생마저 끌고 갑니다.
이상함을 느낀 형은 동생을 찾아 나서는데 동생과 형의 애인이 끌려간 곳을 알게 되고 형은 영신을 구하는 동안 납치한 사람들과 대립하게 되지만 동생의 도움으로 형과 형의 애인은 탈출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형의 애인이 총에 맞아 죽게 되고 동생은 형의 애인이 죽게 된 것도 형 때문이라고 원망을 하게 됩니다. 형은 무공훈장을 반납하면서 동생을 제대시키려고 하지만 하지 못하고 이때 다시 북한군의 공격이 시작되면서 동생이 갇혀 있던 창고가 불에 타게 되고 형은 동생의 만년필을 발견합니다.
형은 자신이 동생을 죽게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월북을 하게 되어 북한군의 선봉을 서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동생은 죽은 것이 아니라 옛 전우 덕에 목숨을 구해 살아 있었는데 이때부터 가슴 아픈 형제애를 볼 수 있습니다. 동생은 북한군이 된 형은 더 이상 나의 형이 아니라며 부정하지만 마음이 그대로 담긴 형의 편지를 보고 동생은 마음을 바꾸게 됩니다. 곧 제대를 앞두고 있던 동생은 형을 구하기 위해 다시 최전방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국군이 계속 북한군에 밀리면서 후퇴를 하게 되자 동생은 한국군을 탈출해 북한으로 월북을 하게 됩니다.
이때 다시 남한군의 공격이 시작되고 북한군 부대가 나타나면서 동생은 형과 만나게 됩니다. 하지만 동생이 죽은 줄 알고 있던 형은 눈이 뒤집힌 상태에서 동생을 전혀 알아보지 못하고 서로 싸우게 됩니다. 형은 한국군에 의해 부상을 입게 됩니다. 동생은 전쟁터에서 형을 업고 도망치면서 울면서 형에게 엄마를 보러 가자고 합니다. 결국 형은 동생의 피를 토하는 절실한 설득에 정신을 차리게 되고 형이 동생을 살리기 위해 북한군과 싸우고 있는 동안 동생은 혼자 탈출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형은 죽게 되면서 거의 영화가 끝나게 됩니다.
형제의 이별 및 남북 분단의 아픔
태극기 휘날리며와 비슷한 영화가 있는데 바로 스티븐 스필버그의 라이언 일병 구하기입니다. 하지만 두 영화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는 특유의 미국 우월주의적인 감성으로 전쟁의 참혹상에 초점이 맞춰졌다면 태극기 휘날리면은 남북 분단과 전쟁으로 인한 형제의 이별 및 가족에 대한 휴먼 드라마적인 요소가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과거에 남한과 북한의 헤어진 가족들이 정부의 정책으로 잠시 서로 만나기도 하는 tv 프로그램도 있었습니다. 625 전쟁으로 남한과 북한의 다른 체제에서 살던 사람들이 그동안 만나지 못하다가 가족이 살아 있는 것을 보면서 오열하는 장면은 많은 국민들의 심금을 울렸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전쟁이 끝나고 거의 70여 년이 지나 그 시대에 헤어졌던 이산가족들은 이제 거의 다 고인이 된 상태입니다.
누구보다 사이가 좋았던 형과 동생이 전쟁터로 끌려가 싸움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서로 반대편으로 싸우게 되는 등 전쟁으로 인한 형제의 이별과 아직까지도 현재 진행형인 한국의 슬픈 역사를 영화화 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